금은방을 다섯 군데나 왔다 갔다 하면서 내가 가지고 있던 순금반지를 판매하려고 했던 적 있으신가요? 과연 내 순금반지가 적정한 가격으로 매입이 된 것이 맞는지 그 후에도 계속 궁금해하진 않으셨나요? 'KRX 금 현물 투자방식'은 바로 그런 모든 문제점을 해소시켜줍니다. 오늘은 KRX 금 현물 투자방식의 또 다른 장점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금가격 및 금값시게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KRX 금현물 투자' 방식의 또 다른 장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금 가격의 안정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 또한 과거에 갖고 있던 순금 반지를 팔기 위해 종로구에 있는 금은방에 방문하기도 하고, 살고 있는 거주지 근처에 위치한 금은방도 방문하곤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 많은 금은방에서 매입 가격으로 제시한 것들 중 가장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다시 가서 금반지를 팔고 왔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에는 4군데의 금은방에서 제안한 가격 중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했던 곳에서 금반지를 팔 고올 수 있어서 기뻤지만,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은 과연 내가 금반지를 제값에 주고 팔고 온 것이 맞는가? 하는 의문이 지속적으로 들곤 합니다. 그리고 감정은 거쳤지만, 내가 판매한 금반지가 진짜 순금반지가 맞는지, 금반지에 순금 함유율은 얼마나 되길래 그 값으로 매입을 한 것인지 등의 궁금증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KRX 금현물 투자를 하게 되면 이런 걱정은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곳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대표적인 금 공식 거래소의 표준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공식적으로 조폐공사에서 직접 제작한 실물 금을 금 거래소에 별도로 비치해둔 다음, 오로지 금의 소유권에 대한 증권을 거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직접 금은방을 오고가면서 실물 금의 가품 여부에 대해 오랜 시간 동안 궁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KRX 금현물 거래 방식을 추천하는 이유는 현실적으로 대부분 낮에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일을 하는 바쁜 직장인들이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편하고 안정적인 금 투자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 거래 방식으로 지속하다가 만약 실물 금을 소유해야 되는 상황이 생기면 실물 금을 인출할 수도 있습니다. 금 실물을 원한다면 금 현물 거래 계좌를 만들었던 증권사 지점으로 직접 방문한 후 금 인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틀 정도 지난 후 해당 지점에서 실물 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되면 그동안 적용받았던 양도세 및 부가세 면제 혜택이 제로가 되면서 다시 지불해야 되는 상황을 겪어야 될 수 있지요.
월급을 받는 사람들은 주식투자를 하면서 스스로 정해놓은 고정 일자에 원하는 주식을 꾸준히 매수하기도 하고 해당 주식의 가격이 내려간 순간을 잘 포착해 추가 매수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작 ‘금’에 대해서는 이렇게 투자할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하고 있습니다. 금은 그 가치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금 매입을 하면 할수록 주식을 매수할 때 드는 불안감 또는 의구심과는 달리, 실물 재산이 쌓여가고 있다는 안심, 뿌듯한 기분과 함께 실제 가시적 이득 또한 볼 수 있습니다.
매 달 지정한 날짜에 조금씩 지속적으로 금을 매입해간다면 시간이 3년만 흘러도 수중에 꽤 큰 목돈을 지닐 수 있게될 것이며, 시중 통화의 하락세와는 상관없이 영원히 가치가 하락하지 않는 재산을 축적해가는 쏠쏠한 재미 또한 느끼실 수 있을 거라고 장담합니다.
그리고 KRX금현물 거래소의 최대 장점은, 실물 금 또는 큰 목돈이 필요한 상황이 생길 때 언제 어디서나 빠르게 현금으로 환매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초등학생 2학년도 하는 쉬운 '금투자' (0) | 2022.08.07 |
---|---|
계속 물가상승의 노예로 어무르고싶은 사람은 클릭하지 마세요. 금시세 고려해 직접 '골드바' 구입하는 방법 (0) | 2022.08.05 |
금가격 및 금값시세 보면서 하는 ‘KRX 금현물 거래’ 금투자 방법 (0) | 2022.08.05 |
경제학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0) | 2022.08.05 |
금투자 , 금값시세 , 금ETF 방식을 활용한 금투자 방법 (0) | 2022.08.03 |
댓글 영역